본문 바로가기
성경/성경 구약개론

[구약개론] 출애굽기

by 썸띵 2022. 9. 7.

구약성경 출애굽기
구약 출애굽기

 

 

출애굽기는 무엇을 말하는가?

 


출애굽기는 오경의 두 번째 부분으로 다음 세 가지 중요한 성경적, 신학적 주제를 다룬다.

 

 

 

1)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이집트의 속박에서 구원하심(1-18장)
2) 하나님이 이스라엘에게 율법을 주심(19-24장)
3)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위해 성막을 짓게 하심(25-40장)

 

 


 창세기의 결말인 요셉의 죽음 후 얼마의 시간이 흐른 뒤에 출애굽기의 서막이 오른다. 요셉 시대 이래 하나님의 백성이 처한 상황은 극적으로 달라졌다. 먼저, 야곱의 대가족은 수가 크게 불어났다. 그러니 불길하게도 이집트의 새 왕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자신들에게 위협이 된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그는 그들을 노예로 삼을 것과 곡식을 저장하는 성 두 곳을 건설할 것을 명령한다. 게다가 그는 갓 태어난 사내아이를 죽이라고까지 명령하는데, 산파들은 이 명령을 따르지 않았고, 그럼으로써 인해 이스라엘을 구원할 자인 모세가 태어난다.

 

 

 

모세의 등장

 

 


 히브리 노예를 구타한 이집트인을 죽인 모세는 파라오 가문 사람이라는 사실이 자신을 보호하지 못함을 깨달았다. 그는 미디안으로 도망가 이드로의 딸 십보라를 만나 결혼해 그 집안사람이 된다.

 

 

모세가 장인의 가축을 돌보고 있을 때, 하나님이 불타는 덤불 속에서 나타나 그에게 말씀하신다. 형 아론과 함께 이집트로 돌아가 이스라엘을 노예살이에서 해방시킬 것을 요구한다. 그 과정 가운데 하나님께서는 자신을 언약의 이름 ‘여호와’로 모세에게 알려주신다.

 


 파라오는 이집트에 들어온 모세와 아론에 저항하지만, 둘은 잇따른 표징과 재앙으로 하나님의 능력을 나타낸다. 이 재앙들은 다음 아닌 이집트 마법사가 보여주는 하찮은 능력만을 지닌 신들에 대한 공격으로 이해된다.

 

 

성경 본문은 이집트 재앙을 자연 현상이 아닌 하나님의 심판이라는 초자연적 개입으로 묘사한다. 장자들이 죽은 후에야 파라오는 히브리인들을 보내준다. 그러나 히브리인들이 떠나자 파라오의 마음은 완악하여져서 그들을 추격하여 몰살하려 한다.

 

 

하나님은 파라오의 계획을 이미 아셨고, 이스라엘 백성이 탈출할 수 있게 하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건널 수 없는 바다 앞에 서게 하심으로 그들을 궁지로 몰아넣으신다.

 

 

하나님의 목적은 이집트인들의 공격을 유도하는 것이었다. 그들이 공격해오자 하나님은 홍해 바다의 물을 열어 이스라엘을 건너게 하시고, 이집트 군대의 위로 물을 닫아 그들을 심판하신다.

 

 

하나님은 이 사건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보여 주시고, 이스라엘 백성은 ‘용사’이신 하나님을 힘차게 찬양함으로 화답한다.

 


 그들이 시내산으로 이르자 하나님께서는 연기와 불로 당신의 현존을 드러내신다. 그곳에서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에게 법을 주신다. 율법의 절정은 십계명이다. 십계명은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일반적인 윤리적 원리들로 이루어져 있다.

 

 

 

성막 건축

 


 출애굽기의 마지막 부분은 성막 건축 과정을 기술한다. 성막은 하나님이 당신의 백성과 늘 함께하신다는 표지다. 즉, 성막은 이스라엘 진영 안에 하나님이 현존하심을 상징한다.

 

 

성막은 이스라엘 백성 중에 있는 하나님의 집인데, 당시 이스라엘 백성이 이리저리 떠돌며 천막에 살았기 때문에 성막도 천막 형태였다.



 하나님은 성막 건축을 시작하게 하시고, 설계도와 건축자재는 물론 건물을 짓는 데 필요한 기술력까지 주신다. 성막 건축이 마무리되자, 하나님은 당신의 영광을 나타내는 구름을 성막 위에 덮으심으로 당신의 현존을 알리셨다.

 

 

장르는 무엇인가?

 


크게 보아 출애굽기는 이스라엘의 과거를 창세기에서처럼 서사 형식으로 들려준다. 출애굽 기사에는 신학적 관심과 문학적 수사가 두드러지지만, 이 이야기는 시공 속에서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보도하는 데에도 관심을 둔다. 훗날 이스라엘은 힘든 상황에 직면할 때 확신을 얻기 위해 이 사건을 돌아본다.

 

 

예를 들어 시편 77편에서 시인은 누구도 도울 수 없는 어려움을 당하지만, 기도 말미에 확신과 소망을 얻는다. 하나님이 바다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하신 사건이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다면, 시인의 확신은 근거가 사라지는 셈이다.

 

 

출애굽 사건은 훗날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의지하게 될 때 그 근거가 되는 하나님 이야기의 중요한 토대다.



 출애굽기는 율법이라는 장르도 소개한다. 율법은 이스라엘의 행동에 대한 하나님의 의지를 표현하는데, 십계명에서 시작해 판례법으로 연결된다. 십계명은 일반적인 윤리적 원리를 표현하고, 이 원리들은 판례법에서 구체적인 상황에 적용된다.

 

 

 

 복음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출애굽기의 각 부분은 신약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길을 제공하는 동시에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을 예견한다. 출애굽 사건은 구약에서 가장 중요한 구원 사건이다. 후대의 예언자들은 돌이키지 않는 죄로 인해 이스라엘이 심판받을 것이라고 선언한다.

 

 

그러나 예언자들은 심판 후에 관계가 회복될 것을 선포하는데, 이 회복은 종종 ‘둘째 출애굽’으로 표현된다. 이 출애굽도 광야를 통과하는 귀환이 될 것이다.

 

 

 


[출처] 손에 잡히는 구약 개론

 

'성경 > 성경 구약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약개론] 여호수아  (0) 2022.09.12
[구약개론] 신명기  (0) 2022.09.11
[구약개론] 민수기  (0) 2022.09.11
[구약개론] 레위기  (0) 2022.09.09
[구약개론] 창세기  (1) 2022.09.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