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41 [신약개론] 누가복음 저자 및 기록시기 누가복음의 저자 저자의 이름이 언급되진 않지만,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은 어쨌든 저자와 결부된 이름 없이 결코 유포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두 책의 내재적 증거와 초대교회로부터 전해 오는 증거에 따르면, 의사이자 바울의 '사랑을 받는' 동료 누가가 저자임을 알 수 있다(골 4:14). 초대교회의 어느 누구도 누가를 저자로 보는 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으며, 누가복음과 사도행전 에 의학 용어들이 사용된 점은 이 주장과 잘 맞아떨어진다. 누가는 유대교로 개종하지는 않았지만, 유대교에 호의가 큰 이방인이 었을 것이다(골 410-14). 누가는 예수님의 사역을 직접 목격한 사람은 아니었다(눅 1:1-4). 사도행전 후반부의 '우리' 구절은 그가 바울의 동료였음 을 일러 준다(7장의 '사도행전의 저자는 누구인가?'를 .. 2023. 1. 16. [신약개론] 누가복음 누가복음의 내용은 무엇인가? 누가는 헬라 문학에서 볼 수 있는 양식을 따른 공식적인 서언으로 자신의 복음서를 독특하게 시작한다. 세례 요한과 예수님의 탄생(1:5 - 2:52) 누가의 '유년기 이야기'는 세례 요한과 예수님의 기적적인 탄생이라는 유사성에 초점을 맞춘다. 천사들이 그들의 탄생을 예언하고(1:5-38), 출산을 앞둔 친척 엘리사벳과 마리아가 만난다(1:39-45). 마리아의 찬가(1:46-50)는 세례 요한의 아버지 스가랴의 찬가와 짝을 이룬다(1:57-79). 요한은 '자라며 심령이 강하여지며'(1:80), 예수님은 '지혜와 키가 자라났다](2:52). 누가는 예수님의 베들레헴 탄생(2:1-7)과 목자들의 방문(2:8-20), 예수님의 성전 방문(2:21-40), 그리고 소년 예수님에 관해.. 2022. 12. 20. [신약개론] 마가복음 저자 마가복음의 저자 마가복음의 저자는 익명이다. '마가복음'이라는 책 제목은 주후 125년경 초대교회의 한 중요한 분파가 마가라는 사람이 두 번째 복음서를 썼다고 생각했음을 말해준다. 마가는 사도행전과 신약의 다른 네 편지에 나오는 요한 마가임이 거의 확실하다. 초대교회에 부가 설명 없이 언급될 정도로 잘 알려진 다른 마가가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가와 두 번째 복음서의 연관성을 초대교회의 많은 저자는 당연시했다. 주후 130년경까지 히에라폴리스의 주교였던 파피아스는 이와 관련해 다음의 세가지 중요한 주장을 했다. 마가는 자신의 이름으로 된 복음서를 기록했다. 마가는 직접 주님을 목격하진 안았지만, 자신의 정보를 베드로에게 전해 받았다 마가의 복음에는 수사적 또는 미적 '질서'가 결여되어 있는데, 이는 .. 2022. 12. 14. [신약개론] 마가복음 신약성경 마가복음 마태복음은 왕으로 오신 메시야의 모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마가복음은 종으로 오신 예수님의 모습에 초점을 맞추어 사건들을 주제별로 정리하여 풀어낸다. 예수님 사역에 관한 마가의 이야기는 행동 지향적이다. 마가는 예수님의 긴 가르침을 나열하기보다는 급속하게 장면을 전환한다. 그래서 '즉시'라는 의미의 단어를 42회나 사용한다(신약 다른 부분에 나타나는 횟수의 거의 세 배다). 예수님은 지속적으로 이리저리 이동하시면서 병을 고치시고 귀신을 쫓아내시며 적대자들에 맞서시고 제자들을 가르치신다. 마가복음의 내용 1. 사역 준비(1:1-13)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1:1)은 예수님의 예비자 세례 요한의 사역(1:2-8)과 예수.. 2022. 12. 6. [신약개론] 마태복음의 저자 / 기록 목적 / 기록 시기 마태복음의 저자는 누구인가? 학자들은 종종 네 복음서의 저자가 무명이라고, 곧 이름으로 자신의 정체를 밝히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서두에서 저자와 1차 독자를 밝히는 바울의 로마서 같은 책과 비교하면, 이런 견해는 엄밀히 말해 틀린 말은 아니다. 마태복음과 마가복음, 누가복음과 요한복음에는, 복음서들의 저자가 명기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복음서들이 '마태복음' 같은 제목 없이 유포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제목은 처음부터 저작의 한부분이었을 것이고, '~가 전한'이라는 표현은 저자라고 생각되는 사람을 소개하는 기능을 한다. 하나의 복음이 '마태가 전한 복음, 마가가 전한 복음, '누가가 전한 복음, '요한이 전한 복음이라는 네 개의 독특한 형태로 사람들에게 유포된 것이다. 마태복음의 저자는 사도인 '세리 마태.. 2022. 11. 25. [신약개론] 마태복음 마태복음의 내용은 무엇인가? 마태는 노련한 문학적 장인이었다. 그는 다섯 편의 강화를 소개하는데. 각 강화는 특정한 상황에서 시작해 마태복음 외에는 나타나지 않는 공식[말 그대로 " 예수께서 말씀을 마치시니 (어떠한 일이 발생했다)"]으로 끝난다. 마태는 서사(narrative: 예수님에 관한 이야기)와 강화(예수님의 가르침)를 다섯 차례 번갈아 기술한다. 1. 서언(1:1-2:23) 여섯 부분으로 나뉘며, 족보를 제외한 모든 곳에서 성취 공식의 형태로 구약이 인용된다. 1) 예수님의 족보(1:1-17) 2) 예수님의 탄생(1:18-25) 3) 동방박사들의 방문(2:1-12) 4) 이집트로의 도피(2:13-15) 5) 베들레헴에서의 대학살(2:16-18) 6) 나사렛으로의 귀환(2:19-23) 2. 하나.. 2022. 11. 21. [구약개론] 말라기 구약성경 말라기 구약성경의 마지막 책인 말라기는 구약시대에서 신약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가교 역할을 한다. 저자인 말라기 선지자의 이름을 본떠 '말라기'로 불린다. 말라기라는 이름의 뜻은 '나의 사자'라는 뜻이다 말라기의 내용은 무엇인가? 표제가 나온 후, 말라기는 이스라엘 백성 및 그 지도자들과 여섯 가지 중요한 문제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 말라기를 통해, 먼저 하나님은 그들을 향한 당신의 사랑을 의심하는 백성에게 당신의 사랑을 확언하시며 도전하신다(1:2-5). 그들을 괴롭혔던 에돔에 대한 심판을 말하심으로 응답하시는 것이다. 두 번째 논쟁(1:6-2:9)에서 하나님은 부적절한 제물을 드려 하나님을 모욕한 제사장들과 다투신다. 세 번째 논쟁( 2:10-16)에서 하나님은 백성들이 '조상들의 언약을 .. 2022. 11. 14. [구약개론] 스가랴 / 스가랴서 Zechariah 구약성경 스가랴 스가랴는 구약의 예언서로 저자인 스가랴의 이름을 따서 '스가랴'로 불린다. 스가랴의 뜻은 '여호와께서 기억하신다'는 의미이다. 학개와 스가랴는 동시대 인물로 성전 재건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스가랴의 내용은 무엇인가? 스가랴는 두 부분으로 나뉜다. 1-8장은 예언자 당대의 역사적 지평 안에 있는 사건들과 관련되는 반면, 9-14장은 종말론적 상상력을 통해 아득히 먼 미래를 바라본다. 첫 번째, 1-8장의 내용 첫 번째 부분에서 예언자는 자신이 이전 예언자들의 뒤를 잇고 있음을 강조하며 예언자로서의 권위를 역설한다(1:2-6). 이 신탁의 날짜는 다리오 왕 제2년 여덟째 달(주전 520년 10월 혹은 11월)로 되어 있다. 스가랴는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하며, 그 선조들이 이전 예언자들.. 2022. 11. 11. [구약개론] 학개 구약성경 학개 구약성경의 소예 언서에 속하며 2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일한 시기에 쓰인 책으로는 에스라와 느헤미야서가 있다. 학개의 내용 학개의 첫 번째 신탁에서 학개는 지금은 성전을 지을 때 가 아니라는 관점에 맞선다. 학개는 이 신탁의 날짜가 페르시아의 다리오 왕 제2년 여섯째 달 초하루라고 적는다(주전 520년 8월 29일). 그는 사람들이 자기 집을 지을 자원과 시간은 있는 것 같다고 지적하고, 하나님의 집이 먼저임을 암시한다. 또한 먹고 마실 것과 입을 것, 품삯이 부족한 것이 성전 완공을 미루는 핑계가 될 수 없음을 상기시킨다. 오히려 그것들은 이스라엘 백성이 과업을 수행하지 않은 데 따른 결과다. 예언자들의 메시지는 대개 거부당하는 반면, 학개 1:12-15에 의하면 스룹바벨(강제 이주 이.. 2022. 11. 8. [구약개론] 스바냐 / 스바냐서 구약성경 스바냐 구약 성경 12예언서에 속하는 예언서이다. 스바냐는 '여호와의 보호하심' ' 여호와가 그를 감추셨다' 라는 뜻이다. 스바냐의 내용 스바냐는 동시대의 동료 예언자들과 비슷한 관심을 많이 보여 준다. 유다는 죄를 지었고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 마땅하다. 책의 서두에서는 전세계적인 심판이 선포된다. 하나님은 세상에 만연한 악을 깨끗이 쓸어버리실 것이다(1:2-3). 이제 스바냐는 관점을 좁혀 유다에 집중한다. 하나님은 유다와 예루살렘에서 바알과 몰렉 같은 이방 신들에게 예배하는 이들을 멸절시키시고, 그들을 희생 제물처럼 처리하실 것이다. 예루살렘에 심판의 날이 다가온 것인데, 이 심판은 무엇보다 부유한 자들을 겨냥한다(1:10-13). 스바냐는 예언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여호와의 날이라는 개.. 2022. 11. 4. 이전 1 2 3 4 5 다음